저자 '나구모 요시노리'는《1日 1食》으로 꽤 유명한데, 우엉차 마시기를 강조하는 걸 어느 TV프로그램에서 봤었다.
얼마전 알라딘 중고샵을 돌아다니다가 이 책을 보고 사기는 좀... 그렇고 해서 도서관에서 검색했더니 대출중!!
며칠전 도사관에서 다시 검색. '대출가능'. 후다닥 가서 빌려와서 보니...
《1日 1食》,《50세가 넘어도 30대로 보이는 생활습관》과 겹치는 부분이 많았다.
이번책은 우엉이 주인공이니 그 부분만 정리하기로.
※ 우엉 고르기
- 뿌리가 곧고 굵기가 고르며 잔털이 적은 매끈한 것
- 뿌리의 머리 부분이 검거나 돌출되지 않은 것'
- 껍질에 흠이 없고, 틈이 갈라지지 않은 것
- 뿌리가 너무 굵지 않고 적당한 것
※ 우엉의 떫은맛을 없애고 변색을 막으려면
- 우엉을 썰어서 바로 찬물에 담가 두거나 식초물에 담가둔다.
※ 우엉을 삶았는데 파래질 때
-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이 녹아 나와 우엉의 안토시안 색소와 반응해서 변색하기 때문에 괜찮다.
※ 우엉 고르기
- 흙이 묻은 상태로 신문지에 돌돌 말아 비닐봉지에 싸서 냉장 보관
우엉차 만들기
▣ 재료 : 우엉 2개
1. 물에 잘 씻어 껍질째 가늘게 채 썬다.
2. 볕이 잘 드는 곳에서 한나절 말린다.
3. 프라이팬에 10분간 볶는다.
4. 찻주전자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신다.
※ 우엉과 궁합이 맞지 않는 식품 - 바지락
♣ 평생 마실 수 있는 술의 한계량 - 여성은 250kg, 남성은 500kg ← 정말일까?
우엉의 주요 성분
◎ 이눌린
- 우엉뿌리의 반을 차지
- 인슐린과 같은 작용
- 이뇨작용 → 콩팥 기능 튼튼하게
- 심장병, 위장병, 피부병에도 효과적
◎ 아르기닌
- 단백질
- 대사 작용의 부산물로 생기는 독소를 체외로 내보낸다.
◎ 리그닌
- 식이섬유
- 대장암 예방
- 즙이나 체로 쳐서 먹으면 더 효율적으로 섭취
※ 우엉은 해독제로도 으뜸
증상별 우엉 활용법 (p169 ~ p172)
◎ 두통
1. 볶은 우엉씨와 선복화를 같은 양으로 넣어 가루 낸다.
2. 차에 4g씩 타서 마신다.
◎ 중풍
1. 말린 우엉뿌리 1되를 절구에 짓찧어 가루로 만든다.
2. 1에 쌀 4홉(1홉=180ml)을 가루 내어 같이 반죽한다.
3. 2의 반죽에 담두시즙과 파, 후추 등을 넣어 수제비를 만들어 꾸준히 먹는다.
◎ 치근염
1. 우엉뿌리 600g을 짓찧어 즙을 낸다.
2. 1에 천일염 4g을 넣고 불에 가열하여 고약으로 만든 후, 치근 위에 바른다. 심한 통증도 몇 번 반복하면 가라앉는다.
◎ 편도선염
1. 우엉씨 6g을 볶은 다음 감초 6g과 섞는다.
2. 물 3홉에 1을 넣고 달여서 조금씩 마신다.
◎ 두드러기
1. 우엉씨를 볶은 후, 같은 양의 부평초와 섞어 가루를 낸다.
2. 아침저녁으로 박하 달인 물로 4g씩 복용하면 없어진다.
◎ 머리 비듬
우엉잎을 짓찧어 즙을 낸 다음 고약처럼 달여 바른다.
◎ 생리불순
우엉잎을 술에 담가 4~5일쯤 두었다가 그 술을 1일 3회 마시면 잘 낫는다.
◎ 생리가 안 나오거나 하혈을 할 때
1. 우엉뿌리 1,200g을 찌고 말리기를 세 번 반복한다.
2. 1을 비단자루에 넣어 술 5되에 담가 숙성시킨다.
3. 5일이 지난 후부터 식전마다 1잔씩 데워 마신다.
◎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1. 우엉뿌리나 잎을 짓찧은 다음 생즙을 낸다.
2. 우엉 생즙 2홉에 생지황즙 2홉, 꿀 2홉을 섞는다.
3. 물 반 잔에 2를 1홉씩 타서 달인 후, 활석 4g을 타서 마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