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 입력시 개행 등 키보드로 입력 불가능한 문자로 역슬래시[\(\)] + 문자의 조합으로 입력

이스케이프 시퀀스 설명 ASCII
\n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 10
\t 9
\b 커서를 한 칸 이동 8
\f 커서를 다음 페이지로 이동 12
\r 커서를 해당 줄 처음으로 이동 13
\(\) 문자 표시 92
\' 작은 따옴표 39
\" 큰 따옴표 34
\0 null 문자 0
\v 수직 탭  
\xXX 2글자 XX(16진수)가 표시된 Latin-1 문자  
\uXXXX 4글자 XX(16진수)가 표시된 Unicode 문자  

 

[참조]

shaeod.tistory.com/228

 

ASCII Table - 아스키 코드표

(아스키코드를 알면 C/C++이나 Java 등으로 문자열 함수를 다루거나 파일 함수를 다룰때 도움이 됩니다.) 컴퓨터는 0과 1 숫자 밖에 모르기 때문에 문자도 숫자로 기억합니다. 이때, 어떤 숫자와 어

shaeod.tistory.com

 

dojang.io/mod/page/view.php?id=2465

 

파이썬 코딩 도장: 47.6 이스케이프 시퀀스

\(백슬래시) 뒤에 문자나 숫자가 오는 조합을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라고 합니다. 다음은 파이썬의 이스케이프 시퀀스입니다. ▼ 표 47-6 파이썬 이스케이프 시퀀스 이스케이프 시퀀스

dojang.io

 

아침에 눈 뜨자 마자 폰을 보니 구독한 유튜브 채널 모바일랩 에서 백신 무료로 풀렸다고 해서 바로 터치~~

 

와우! 

 

AVTEST에서 백신 평점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www.av-test.org/en/antivirus/mobile-devices/

 

Test antivirus software for Android - November 2020

The current tests of antivirus software for Android from November 2020 of AV-TEST, the leading international and independent service provider for antivirus software and malware.

www.av-test.org

https://www.av-test.org/en/antivirus/mobile-devices/

모바일랩 영상에서 '더보기'를 보면 설치할 수 있는 링크와 키를 얻을 수 있다.

PC, 맥, 안드로이드 모두 무료로 설치 가능하다. 무려 22만원 → 0원

아! 물론 평생 무료는 아니다. 설치하고 나니 512일 남았다고 알려준다.

 

모바일랩 영상은 다음과 같다.

 

 

설치방법은 영상을 보면 자세히 알려준다.

 

모바일랩 따봉!

티스토리에서 [첨부]를 클릭하여 이미지를 삽입하면 본문 중간에 삽입된다.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 이미지를 넣고자 한다면 다음 방법으로 삽입한다.

 

1.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클릭 〉 [html 편집] 클릭

 

2. [파일업로드] 클릭

 

3. 맨 밑에 [+추가] 클릭

 

4. 추가한 이미지 파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링크 주소 복사] 클릭

 

5. [기본모드] 〉 [HTML] 클릭

다음 코드 삽입한다. src에 복사한 이미지 링크 주소 붙여넣기

<p style="float:left;">3. 개발자 도구 창의 맨 왼쪽 윗부분에 있는 디바이스 모드 아이콘 (</p>
<p><img style="vertical-align: bottom; float:left;" src="https://tistory2.daumcdn.net/tistory/91878/skin/images/device_mode.jpg" width="25" height="21" align="bottom" /></p>

 

 

 

[출처: kwonsaw.tistory.com/271]

 

티스토리 텍스트 옆에 이미지 넣기

간혹 사이트나 블로그를 보면 텍스트 옆에 이미지가 들어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티스토리에서 이미지를 첨부하면 본문 중간에 삽입이 되고 텍스트 앞이나 뒤에는 붙일 수 없습니다. 원

kwonsaw.tistory.com

 

스마트폰에서 트리거(trigger)를 사용해 필요할 때만 메뉴를 표시

트리거(trigger) : 누가 보더라도 '이 부분을 터치하면 메뉴가 나오겠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텍스트나 아이콘

 

1. 뷰포트 지정

  • 모바일 화면에서도 알맞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도록 뷰포트를 설정하는 메타 태그를 꼭 추가해야 한다.
<title>반응형 내비게이션</titl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maximum-scale=1">

 

2. 기본 CSS 지정

  • 가장 먼저 어떤 화면 크기에서도 똑같이 적용되는 기본 스타일을 정의
<style>
* {
    margin:0;
    padding:0;
    box-sizing: border-box;
    -moz-box-sizing: border-box;
    -webkit-box-sizing: border-box;
   }
   
 body {
    background:url('windmill.jpg') no-repeat right bottom fixed;
    background-size:cover;
 }
 
 a:link, a:hover, a:visited {
    color: #fff;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1px 1px 0 #283744;
 }
 </style>

 

3. 내비게이션 만드는 마크업 추가

<body>
    <nav>
    	<ul>
            <li><a href="#">HOME</a></li>
            <li><a href="#">ABOUT</a></li>
            <li><a href="#">WEB</a></li>
            <li><a href="#">DESIGN</a></li>
            <li><a href="#">MAP</a></li>
            <li><a href="#">CONTACT</a></li>
        </ul>
        <a href="#" id="trigfger">MENU</a>
    </nav>
</body>
  • 마지막 MENU 항목은 실제 메뉴가 아니라 스마트폰 화면에서 터치할 수 있는 트리거 항목임.

4. 작은 화면의 기본 구조와 CSS

  • 다음 소스를 </style> 태그 앞에 추가
nav {
    width: 100%;
    height: auto;
    background: #34495e;
    font-size: 1.2em;
    font-weight: bold;
    position: relative;
}

nav ul {
    display: none;
    height: auto;
}

nav ul li {
    display: block;
    width: 100%;
    text-align:center;
    border-bottom: 1px solid #576979;
}

nav ul li a {
    line-height: 50px;
}

</style>

 

5. 작은 화면에서는 MENU 텍스트와 햄버거 메뉴를 같이 사용. #trigger 요소를 화면에 표시하고, 오른쪽에 nav.png를 함께 표시

nav a#trigger {
    display: block;
    background-color: @283744;
    width: 100%;
    padding-left: 15px;
    line-height: 40px;
    position: relative;
}

nav a#trigger::after {
    contnet:"";
    background: url("nav.png") no-repeat;
    width: 30px;
    height: 30p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absolute;
    right: 15px;
    top: 10px;
}

</style>

 

6. 트리거를 터치하면 메뉴가 나타났다가 한 번 더 터치하면 메뉴가 사라지는 부분. jQuery의 slideToggle() 메서드를 사용. 다음 소스를 </body> 앞에 삽입

<script src="js/query-2.2.4.min.js"></script>

<script>
    $(function() {
        var trigfer = $('#trigger');
        var menu = $('nav ul');
        $(trigger).on('click', function(e) {
            e.preventDefault();
            menu.slideToggle();
        }); 
        
        $(window).resize(function() {
            var w = $(window).width();
            if (w>320 && menu.is(':hidden')) {
                menu.removeAttr('style');
            }
        });
    });
   
</script>

</body>
   

 

7. 미디어 쿼리 중단점 정하기

큰 화면일 경우 화면 위쪽에 내비게이션 바를 표시하고 메뉴 항목을 가로로 표시하려고 할 경우

@media screen and (min-width:721px) {

    nav {
        height: 40px;
        border-bottom: 2px solid #34495e;
    }
    
    nav ul {
        display: block;
        width: 720px;
        height: 40px;
        padding: 0;
        margin: 0 auto;
    }
    
    nav ul li {
        display: inline-block;
        width: 120px;
        border-bottom: 0;
        border-right: 1px solid #576979;
        margin-right: -6px;
    }
    
    nav ul li:last-child {
        border-right: 0;
    }
    
    nav ul li a {
        font-size: 1em;
        line-height: 40px;
    }
    
    nav a#trigger {
        display: none;
    }

}

</style>

 

 

[출처: 프런트엔드 웹 디자인 입문 p.119~p.124]

외부 CSS 파일로 정의하기
<link rel="stylesheet" media="미디어 쿼리 조건" href="css 파일 경로">

예) <link rel="stylesheet" media="print" href="css/print.css">

     <link href="/css/screen.css" type="text/css" rel="stylesheet" media="screen">

     <link rel="stylesheet" media="screen and (max-width:768px)" href="/css/tablet.css">

 

@import url(css 파일 경로) 미디어 쿼리 조건;

예) @import url("css/tablet.css") screen and (min-width:321px) and (max-width:768px);

 

 

웹 문서에서 직접 정의하기
<style media="미디어 쿼리 조건">
    스타일 규칙들
</style>

<style media="screen and (max-width:320px)">

    body  {

        background-color: orange;

    }

</style>

 

<style>
@media 미디어 쿼리 조건 {
    스타일 규칙들
}
</style>

<style>

@media screen and *(max-width:320px) {

    body {

       background-color: orange;

    }

}

</style>

 

미디어 쿼리 검사기

1. 사이트 접속 (strongegg.com)


2. [F12] 눌러 개발자 도구 실행

 

3. 개발자 도구 창의 맨 왼쪽 윗부분에 있는 디바이스 모드 아이콘 (

) 클릭 : toggle device toolbar(Ctrl+Shift+M)

 

4. 디바이스 도구 막대 오른쪽 끝에 있는 More options 아이콘(

) 클릭 > [Show media queries]를 선택

 

5. 개발자 도구에서 현재 사이트의 스타일 시트 파일을 분석해 미디어 쿼리를 막대 형식으로 표시

미디어 쿼리 막대

6. 미디어 쿼리 막대에서 짙은 색으로 표시된 수직 선이 중단점이고 중단점과 중단점 사이의 연한 색 부분을 클릭하면 미디어 쿼리 조건에 따라 사이트가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할 수 있다.

 

7. 미디어 쿼리 막대에서 소스를 보고 싶은 영역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Reveal in source code]를 선택하면 해당 영역을 정의한 미디어 쿼리가 어느 파일에 있는지 표시된다. 하나의 파일에서만 사용했을 수도 있고 여러개의 파일에서 사용했을 수도 있다. 파일 목록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선택

 

8. 개발자 도구 창의 [Sources]탭이 자동으로 열리면서 해당 미디어 쿼리 구문이 표시된다.

 

 

[출처 : 프런트엔드 웹 디자인 입문 p.111~p.117]

뷰포트 설정
  • 스마트폰에서 실제 콘텐츠가 표시되는 부분
  • 웹 문서의 글자나 이미지 같은 콘텐츠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잘 보이는 크기로 표시하려면 스마트폰 화면을 웹 문서 너비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문서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화면 너비에 맞춰 표시해야 한다.
  • 뷰포트 설정 소스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width=device-width : 문서 너비를 현재 기기의 너비에 맞춥니다.

initial-scale=1 : 문서를 불러와 화면에 표시할 때 기본 배율을 1로 지정합니다.

 

  • <meta> 태그에서 뷰포트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
width 뷰포트의 너비, 기본값 device-width
height 뷰포트의 높이, 기본값 device-height
initial-scale 초기 배율, 기본값 1(1보다 작은 값이면 축소 페이지, 1보다 큰 값이면 확대 페이지를 표시)
user-scalable 사용자가 페이지를 확대/축소할 수 있는지 여부 지정, 기본값 yes
minimum-scale 확대/축소할 수 있는 최소값(가로 기준), 기본값 0.25
maximum-scale 확대/축소할 수 있는 최대값(가로 기준), 기본값 5.0
target-densityDpi 고해상도 단말기의 화면 해상도에 맞출수 있도록 페이지 확대, 기본값 device-dpi

 

 

미디어 쿼리 구문
  •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SS를 정의하는 <style> 태그 안에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삽입. 대소문자 구별하지 않습니다.
@media [only | not] 미디어 유형 [and 조건] * [and 조건]
  • @media : 스타일 시트 안에서 미디어 쿼리를 시작하는 속성
  • only | not : 미디어 쿼리를 적용할 유형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접두어, only 접두어를 사용하면 only 다음의 미디어 유형에만 적용되고 not을 사용하면 not 다음의 미디어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만 적용됨
  • 미디어 유형 : 화면인지 프린터인지, TV인지 등 미디어 쿼리를 적용할 기기를 지정하는 부분. 쉼표(,)를 사용해 여러 가지 미디어 유형을 나열할 수 있다. 미디어 유형을 적용하지 않으면 접속하는 모든 기기에 미디어 쿼리가 적용된다.
미디어 유형 설명
all 모든 미딭어, 기본값
screen 화면이 달려있는 기기, 스마트폰과 PC 모두 해당
print 인쇄장치
tv 음성과 영상이 동시 출력되는 tv
aural 음성 합성 장치
braille 점자 표시 장치
handheld 손에 들고 다니는 장치
projection 프로젝터
tty 화면이 없는 장치
embossed 페이지에 인쇄된 점자 표시 장치
  • 조건 : 미디어 유형 외에 기기와 관련된 조건을 지정한 후 해당 조건에 맞는 경우에만 CSS가 적용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조건은 괄호( )로 묶어서 표현하며 둘 이상의 조건을 나열할 경투 and 연산자를 사용. orientation을 제외하면 각 속성의 앞에 min- 이나 max- 접두어를 붙여 최소값이나 최대값을 표현할 수 있다. 더 많은 조건 속성은 www.w3.org/TR/mediaqueries-p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width 웹 문서의 너비
height 웹 문서의 높이
device-width 기기의 너비
device-height 기기의 높이
orientation 화면의 방향. landscape(가로), portrait(세로) 중 선택
aspect-ratio 화면 비율
device-aspect-ratio 기기의 화면 비율
resolution 기기의 해상도
색상 color 기기의 비트 수
color-index 기기의 색상 수

 

 

미디어 쿼리 중단점
  • 미디어 쿼리를 작성할 때 화면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CSS를 적용할 분기점을 중단점(Break Point)이라고 한다.
  • 대부분 기기의 화면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주로 작은 화면, 중간 화면, 큰 화면으로 구분
  • 모바일 퍼스트 디자인 : 모바일을 먼저 고려하여 미디어 쿼리를 작성. 그러고 나서 화면이 큰 태블릿과 데스크톱에 맞춰 더 많은 기능과 스타일을 추가
  • 중단점을 정할 때는 콘텐츠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작은 화면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화면을 점점 늘려가다가 콘텐츠 배치를 다르게 해야 할 크기가 되면 중단점을 추가한다.
  • 모바일 기기별 더 자세한 중단점을 할고 싶다면 css-tricks.com/snippets/css/media-queries-for-standard-devices 를 참고
-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6~8 버전을 비롯해 미디어 쿼리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도 반응형 웹이 동작하도록 설계하려면 respond.js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해서 링크하면 된다.
- respond.js를 다운로드하려면 github.com/scottjehl/Respond 페이지로 들어가서 화면 오른쪽 위에 있는 'Clone or download - Download ZIP'을 클릭해서 전체 파일을 다운로드. 파일 압축을 푼 후 src/respond.js 파일을 원하는 폴더로 복사.
-  CSS의 조건 주석문을 사용해 인터넷 익스플로러 9 이하 버전일 경우 respond.js 파일을 가져오는 소스를 작성한다.

 

 

[출처 : 프런트엔드 웹 디자인 입문 p.105~p.110]

bunho : varchar(10)

bunho
100
78
1
99
.
.
.

 

SELECT MAX(bunho) FROM temp_tbl;

<결과값>

MAX
99

"100"을 기대했으나 99가 나온다. 

 

숫자로 형변환하는 CAST 사용해서 MAX값 가져옴.

 

SELECT MAX(CAST(bunho as signed)) FROM temp_tbl;

<참고>

https://www.w3schools.com/sql/func_mysql_cast.asp

 

MySQL CAST() Function

MySQL CAST() Function ❮ MySQL Functions Example Convert a value to a DATE datatype: SELECT CAST("2017-08-29" AS DATE); Try it Yourself » Definition and Usage The CAST() function converts a value (of any type) into the specified datatype. Tip: See also t

www.w3schools.com

$txt = "강남구";

echo substr($txt, -1, 1);

$txt에서 '구' 를 잘라서 가져오고 싶었으나 결과는 깨져서 나온다.

 

그래서 mb_substr, mb_strlen 함수 사용했다.

 

mb_substr(문자열, 시작위치, 나타낼 길이, 인코딩방식);

 

$txt = "강남구";

$tmp_gu = mb_substr($txt, mb_strlen($txt, "UTF-8")-1, 1, "UTF-8");

 

pdf로 저장할 때 크롬, 엣지에서는 table border 가 제대로 보이는데 ie에서만 나오지 않아 구글링을 한 결과 

 

<style type="text/css">
.border1 {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1px 1px 1px;
  border-color: black;
 }
 </style>

이렇게 하니 안보인다.

 

그래서 border-width 를 2px로 지정하니 보인다.

 

선이 좀 두껍게 나와도 ie에서 쓸려면 어쩔수 없다. ㅠ.ㅠ

https://m.blog.naver.com/islove8587/220953972194

 

[MYSQL] 곱집합,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대칭차

1. 테스트 환경(1)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TableA` ( `No` int(10) unsigned NOT NU...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