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윤혜식 저 / 미디어 샘 / 2020년 7월]

 

 

Part04. 클라우드로 들여다보는 비대면 비즈니스 최신 IT 기술

 

01. 신뢰의 기술, 블록체인

 

이보다 더 투명할 수 없다
  • '빈 투 컵' 프로그램: 2019년 3ㄷ월 스타벅스 미국 본사는 연례 주주총회에서 '디지털로 추적할 수 있는 커피(digitality traceable coffee)' 서비스를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커피 콩의 유통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으로, 고객이 모바일 어플을 통해 매장에서 판매하는 커피 원두의 생산지와 운송 이력을 볼 수 있는 서비스다. (p.91)
  • 원산지를 증명하는 데 블록체인 기술이 왜 필요할까? 블록체인이란 데이터를 분산하여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데이터를 한군데의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탈중앙화'된 서비스다. (p. 92)
  • 우리가 은행에서 금융 거래를 하면 나의 금융 데이터는 해당 은행 서버에 저장된다. 그런데 만약 은행 서버에 장애가 발생했거나 해킹을 당하게 되면, 우리는 금융 서비스 자체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93)
  • 개인과 개인의 거래 내용은 '블록(block)'에 저장되고, 이러한 블록들은 시간이 지나면 사슬처럼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고 부른다. (p.93)
  •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가 거래 내용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위변조하려 해도,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에 저장된 거래 정보를 해킹하지 않는 이상 변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중앙 서버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참여자 누구나 투명하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p.93)
  • 금융, 유통, 물류관리, 각종 증명서 발급 서비스 (p.93)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술

 

 

금융업의 최강자는 IT 기업
  •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IT 기술의 합성어로, 금융 분야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금융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다.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이 대표적 (p.95)
  • '테크핀'이라는 용어는 2016년 12월 알리바바 회장 마윈이 가장 먼저 사용했다. (p.96)
  • 모바일 결제는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인식해 바로 결제하는 서비스다. 최근에는 QR코드 대신 카메라로 얼굴을 찍어 결제를 하는 안면인식 결제가 확대되고 있다. (p.96)
  • 중국의 모바일 결제 시장은 알리바바의 알리페이(Ali Pay)와 텐센트(Tencent)의 위챗페이(WieChat Pay)가 시장의 92%를 점유하여 사실상 두 업체가 장악하고 있다. (p.96)

핀텤와 테크핀의 차이 (p.99)

 

스타벅스는 이제 커피회사가 아니다?
  • 스타벅스와 오프라인 은행의 결합은 엄청난 시너지를 가져올 것이다. 예치금이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로 전환되면 단순한 결제 외에도 투자, 예금, 이체, 환전 등의 금융 거래가 아주 쉽게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을 통한 암호화폐로 예치금을 관리하게 된다면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에서 다양한 화폐로 선불금을 충전할 수 있고, 결젣오 수월해진다. (p102 ~ p.103)

 

02. 무한한 상상력 현실로 만들어주는 인공지능

 

클라우드 존재의 이유, AI
  • 인공지능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 즉, 사람의 지능을 가진 '생각하는 기례'를 연구하는 분야다. (p.106)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wrwork)

    인간의 신경을 융내낸 기계학습의 한 기법 (p.107)

 

딥러닝 (Deep Learning)

    AI의 한 분야로 심층학습이라고도 한다. 딥러닝은 스스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안의 규칙이나 패턴도 스스로 찾아낸다. 지금까지의 기계학습은 데이터의 규칙을 찾아내기 위해 사람이 기준을 정해줘야 했지만, 딥러닝 기술은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그 기준을 스스로 찾아낸다. (p.107)

 

  • AI 서비스는 인간의 오감과 지성, 인지능력을 보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p.108)

 

외국어 손글씨를 한국어로 번역하다
  • 동시통역 이어폰을 통해 다른 언어를 쓰는 두 사람이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기술까지 개발되고 있으며, 외국어로 쓴 손글씨를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한국어로 번역해주는 서비스는 삼성이 독자개발한 AI 빅스비(Bixby)에서 이용 가능하다. (p.109)

 

시각장애인의 눈을 대신하는 스마트글래스
  • 이미지를 검색하여 스크랩하고 공유하는 SNS 핀터레스트(Pinterest)는 이미지인식 기술을 가장 잘 활용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한 이미지를 검색하면 이 이미지와 연관된 유사 이미지를 끊임없이 추출해준다. 디자인이나 인테리어 등의 영감을 얻기 위해 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검색 플랫폼이다. (p.109)
  • 핀터레스트는 AWS의 이미지인식 서비스인 아마존 레코그니션(Amazon Rekognition)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인식 API는 수천 개의 개체나 생물, 정치 등을 인식하여 문자화된 태그로 변환하는 것이 기본원리다. (p.109)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특정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도화주는 인터페이스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 사용자가 외국어 댓글을 번역하여 보고싶다면 번역 API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페이스북 입장에서는 플랫폼을 오픈함으로써 외부 개발자나 업체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플랫폼을 키우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사용자 역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110)

 

태그(tag)

    어떤 정보를 검색할 때 사용하기 위해 부여하는 단어나 키워드. 인터넷 정보 중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등장에 따라 태그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p.110)

 

  • 이미지인식 기술은 음성으로 길 안내를 해주는 스마트글래스가 나온 배경이 된다. 스마트글래스는 시각장애인에게 주변의 상황을 인식하여 음성으로 설명해주는 기기다. (p.110)
  • 시각장애인을 위한 영상 통역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스타트업 아이라(Aira)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호라이즌 스마트글래스(Horizon Smart Glasses)를 개발했다. 시각장애인이 스마트글래스를 쓰고 길을 걸어가면 이미지인식 API로 이미지를 인식한 뒤 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를 텍스트-음성변환(TTS, Text To Speech) 기술을 통해 음성으로 읽어준다. 그러면 앞을 보지 못하더라도 눈앞의 상황에 대해서 인지할 수 있다. (p.110)

 

사진 한 장으로 사람의 감정을 읽는 AI
  • 이미지인식 기술은 사람 얼굴을 감지해 나이와 성별, 그리고 그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하기 시작했다. (p.111)
  • MS 애저의 페이스(Face) API나 이모션(Emotion) API (p.112)
  • 이미지인식 API가 CCTC와 결합하면 은행이나 보안시설에서 CCTV로 촬영한 범죄자의 얼굴을 식별해 범죄를 예방하는 기술로 탄생하게 된다. (p.113)
  • 무엇보가 이미지인식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가 자율주행차다. 
  • 자율주행차는 앞에 나타나는 장애물들이 사물인지 사람인지 빠르게 분석하고 대응해야 한다. 이미지인식 API의 반응속도에 따라 사람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기술이다.

 

운전기사의 신분을 안면인식 기술로 활용한 우버
  • 경험 데이터 (experience data): 소비자에게 직접 의견을 물어 수집하고 분석한 디지털 정보 (p.114)
  • 퀼트릭스(Qualtrics) 솔루션 기업: 경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했다. (p.114)
  • 정량생성방법(Quantly Generation Method): 얼굴 전체와 얼굴의 특정 부분을 인식. 과거에 인식이 어려웠던 상태의 얼굴도 더 정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됐다. 조명이 어둡거나 선글라스나 마스크로 얼굴 일부가 가려진 상태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다. (p.115)
안면인식으로 현금 인출하는 ATM

 

의류 상품 1초만에 분류하는 AI

 

AI 영화 더빙 시대

 

AI 비서가 전화로 식당 예약을

 

구글 I/O (Google Input/Output)

    구글이 매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혁신 제품을 선보이는 행사로, 구글의 신제품과 신기술을 가장 먼저 접할수 있다. (p.120)

 

인간이 AI에게 말로 명령하면 인식하고 실행한다 (p.121)

  • 이 기술은 음성-텍스트변환 (STT, Speech To Text) 기술과 텍스트-음성 (TTS, Text To Speech) 기술이 결합된 결과다. 사용자가 AI에게 음성으로 요청하면 음성은 텍스트로 변환되어 AI가 인식하고, AI는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종업원에게 말하는 구조다. (p.120)
  • 여기서, 텍스트-음성변환 기술은 자연어처리기술과 만나면서 더욱 완벽해진다. (p.121)

자연어처리기술 (Ne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 (p.121)

 

  • 텍스트-음성변환 기능에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문자판독) 기능이 결합되면 시각장애인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p.122)
  • OCR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장치로 문자, 기호, 마크 등에 빛을 비추어 그 반사 광선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술 (p.122)
  • MS의 시잉 AI (Seeing AI) 어플 (p.123)

 

사진 찍어 텍스트로 변환하는 OCR
  • AI와 빅데이터를 결합한 서비스들이 발달되면서 처방전을 기반으로 한 PHR이 헬스케어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만큼 의학정보가 많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유용하게 쓰이게 될 것이다. (p.125)

PHR (Personal Health Record)

    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진료 · 검사 정보와 스마트폰 등으로 수집한 활동량 데이터나 스스로 측정한 체중 · 혈당 등의 정보를 모두 취합해 사용자 스스로 열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축한 건강기록 시스템 (p.125)

 

비대면 상담에서 챗봇 상담으로 진화하다

 

5분 만에 홈페이지 만들어주는 AI
  • 워드프레스 (Wordpress)는 설치형 블로그 서비스로 유명하다. 워드프레스는 이제 클라우드 기반으로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p.129)
  • 텍스트로 입력한 블로그 게시글을 자연스러운 사람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 이 기능은 AWS의 텍스트-음성변환 서비스인 폴리(Polly)를 이용한 것 (p.129)
  • 클라우드 기반 DIY 홈페이지 구축 사이트 윅스(Wix)에서는 AI를 통해 더 쉽게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사용자가 회사 사업분야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AI 기반 자동화 웹디자인 서비스(Artificial Design Intelligence, ADI)로 회사 분야에 맞는 레이아웃과 페이지 등을 가져온다. (p.129)

 

03. 비대면사회 필수 기술 RPA

시스템통합, SI

    System Integration의 약자.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 IT와 관련된 수많은 요소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종합적으로 함께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 (p.133)

 

  • RPA는 사람이 해야 해야 하는 단순 반복 업무를 대신 처리해주는 소프트웨어형 자동 로봇을 말한다. 단순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복되는 업무에 RPA를 활용하고 있다. (p.133 ~ p.134)

늘어나는 RPA 시장 규모 (p.134)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Business Process Outsorcing, BPO)

    회사의 핵심업무를 재외한 전 과정을 외부 업체에 맡기는 방식 (p.134)

 

  • 자재 현황 분석, 고객 응대, 판매 관리, 정산 업무, 대출연장 심사, 매출 마감 업무, POS 기기 정산 업무

 

외국어 동영상을 바로 번역하여 자막으로

RPA가 자동으로 해주는 업무들 (p.138)

 

실시간으로 뉴스를 모니터링하라

 

첨부파일만 따로 모아주는 로봇이 있다면

 

명함 정보를 엑셀에 저장해준다

 

고객관리솔루션 (CP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약자로 '고객 관계 관리'를 뜻한다. 기업에게 필요한 고객관리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것으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한 번 고객은 평생고객'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고객의 가치를 극대화한다. (p.143)

 

궁극의 RPA 시대
  • RPA와 AI의 결합은 이른화 초자동화(Hyper Automation)의 시대를 예견하고 있다. (p.145)

 

 

04. 사물과 사물이 대화하는 시대, 사물인터넷

 

스마트한 생활을 만드는 기술

 

온도조절기 하나로 집 안을 관리하는 네스트 러닝 서모스탯 (p.148)
IoT는 전 분야에 걸쳐 역할을 하고 있다 (p.149)

 

농촌에 꽃 핀 4차산업, 스마트팜
  • 국내 스마트팜 스타트업 상상텃밭 역시 IoT를 이용하여 작물 생산을 자동화했다. 별도 서버를 설치할 필요 없이 온 ·  습도와 일조량 등을 클라우드 AI 분석 시스템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비용은 낮추고 성능은 높인 것이다. (p.151)
  • IoT는 공공 부문에서도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노인 혼자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무연고 사망, 이른바 '독거노인 고독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독거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을 개발했다. 독거노인 가정에 IoT 기기를 설치해 노인의 움직임, 실내온도, 조도, 습도, 화재, 가스 등을 감지한 후 이 데이터를 생활지원사의 스마트폰 어플로 전송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공공 서비스다. (p.151 ~ p.152)
수술의 정확도를 높인다

 

산업으로 확장되는 IoT
  • 산업 현장에서 또 다른 역할을 해내는 IoT를 사물 사물인터넷(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이라고 한다. (p.154)
  • 최근에는 중앙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사용자의 현장 주변(Edge)에서 바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이 도입되고 있다. 에지 컴퓨팅은 중앙집중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다르게 분산된 소형 서버를 현장 근처에 두어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p.155)
기계의 작은 결함도 놓치지 마라
  • 설비나 제품의 이상을 미리 감지하고 정비하거나 조치해주는 것을 예지정비(Predictive Maintenance)라고 한다. (p.156)
  • 예지정비는 가장 머너저 현장의 장비나 기계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분류한 후에 기계학습 등을 통해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로 최종적으로 습득한 인텔리전스를 실제 운영 환경에 반영한다. (p.157)
  • 클라우드 플랫폼 안에서는 이 모든 과정이 하나의 파이프라인처럼 연결되어 있다. 설비나 제품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IoT 기술과, 데이터를 분류하는 빅데이터 기술, 분류된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기계학습, 그리고 가상현실 장비들이 결합하면 새로운 예지정비 서비스의 무한한 확장이 가능해진다. (p.157)
사고가 나는 것도 밀 안다

 

비행기 엔진 결함을 미리 찾아낸다

 

 

05. 클라우드가 만든 비대면 오피스 혁명

비대면 시대를 준비하는 기업들

급격하게 사용자가 늘어난 화상회의 어플 (p.166)

이제 만나지 말고 일하자
  • 디지털사회의 소비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Z세대의 아이디어와 가치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p.168)

스마트 워크 솔루션 (Smart Work Solution)

    자유롭게 출근하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업무를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는 스마트 오피스 시대
  • 대표적 스마트 오피스 툴: MS 오피스365, 구글 지스위트(G-Suite)
  •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란 신문처럼 매달 구독료를 내고 필요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받아쓰는 결제 활동을 말한다. 넷플릭스의 성공이 구독경제를 가장 잘 말해주는 서비스다. (p.170)

 

AI와 만난 클라우드 오피스
  • 클라우드 기반 오피스 제품들의 가장 큰 특징은 USB나 하드디스크보다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 클라우드 기반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3개의 복제본이 저장된다. (p.172)

 

06. 먼저 찾아온 미래, 미래를 만드는 기술

만지지 않고도 느껴지는 가상현실 세계

 

운전대를 잡지 않고 운전하는 시대

자율주행 발전 단계

    미국자동차기술회(SAE, Society of Automative Enginears)가 정한 자율주행차 발전단계는 레벨 0에서 레벨 5까지 총 6단계로 나뉜다. 레벨 0은 운전자가 운전하고 자동차를 제어하는 단계, 레벨 1은 1개 이상의 자동제어기능을 갖춘 단계, 레벨 2는 2개 이상의 자동제어기능을 갖춘 단계, 레벨 3은 대부분 운전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되 필요하면 운전자가 개입하는 단계, 레벨 4는 100% 자율주행하고 운전자는 목적지만 입력하는 단계다. 우버나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레벨은 3에 해당되며, 현재까지 상용화된 레벨 4~5의 자율주행차는 없다. (p.181)

 

  • AWS의 세이지메이커(SageMaker): 개발자와 데이터과학자들이 강화학습을 개발하거나 쉽고 빠르게 훈련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p.181)
1시간에 피자 300판 만드는 로봇
  • 바리스타 로봇은 1시간에 아메리카노 120잔까지 만든다 (p.185)
인공위성까지 빌려주는 클라우드

 

 

Part 05. 다가올 미래에 전개될 IT

 

 

미래 기술의 예언은 가트너 리포트에서부터

 

벤처 캐피탈 (Venture Capital, VC)

    위험성은 크나 높은 기대수익이 예상되는 경쟁력있는 벤처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사업을 말한다. (p.194)

 

  • 가트너는 매년 10월 '10대 전략 트렌드(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라는 이름으로 다음 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트렌드 키워드 10개를 선정하여 발표한다. (p.195)
클라우드와 맞닿아 있는 2020 IT 트렌드

가트너가 발표한 2020 IT 트렌드 (p.196)

 

RPA와 다양한 기술이 만나는 시대

 

프로세스 마이닝 (Process Mining)

    다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내 분석하는 일을 데이터 마이닝이라고 하며, 프로세스 마이닝은 결과에 집중하는 데이터 마이닝과 달리 과정, 즉 프로세스 전체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관련 기술이다. 활용 사례로는, 삼성전자, 대우해양조선 등 제조기업의 제조 프로세스 분석, 서울대병원의 진료 프로세스 분석, 전시회 관람객 동선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다. (p.198)

 

유아이패스 (Uipath)

    2005년 설립된 세계 점유율 1위 RPA 기업이다. 전 세계 약 3천여 개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2018년 국내에도 진출하여 LG전자, KT, 현대자동차그룹 등 대형 그룹사를 포함한 40여 곳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p.198)

 

 

이제 누구나 어플을 만들 수 있다

로우코드 (Low Code), 노코드 (Nocode)

    로우코드는 최소한의 코딩으로 누구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을 말하며, 노코드는 아예 코딩이 필요하지 않은 플랫폼을 말한다. (p.199)

 

 

다중경험으로 인테리어를 미리 해본다
  • 다중경험이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Mixed Reality, MR)등을 바탕으로 융합된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p.200)
  • 확장현실(Extended Realith, XR) (p.201)
더 빨리 데이터를 수집하라

스마트공장 (Smart Factory)

    설계 · 개발, 제조, 유통 · 물류 등 생산 전체 고라정에 ICT를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p.203)

  • '자율성을 가진 에지'는 5G 통신과 맞물려 점점 더 주목 받고 있다. IT 분야에서 '에지'라고 표현하면 플랫폼에서 종단에 있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주로 IoT의 중시미이 되는 센서들, 드론, 자율주행차,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음성인식 스피커 등을 전부 아우른다고 봐도 무방하다. (p.202)
  • 에지 컴퓨팅은 이러한 에지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저장,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서 처리하는 기술이다. (p.202)
  • 데이터 전송의 끊김이 없어야 하는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환경이 필요한 공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p.202)
데이터센터가 없어지는 시대
  • '분산형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가 다양한 장소에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p. 204)

가상화폐공개 (Initial Coin Offering, ICO)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초기 개발 자금을 모금하는 과정을 말한다. (p.205)

 

노드 (node)

    데이터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ㄷ간위로, 여기서의 노드는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p.205)

 

종속성(록인) (Lack-in)

    자물쇠효과라고도 한다. 새로운 상품이 나와도 전환비용으로 인해 기존 상품을 계속 사용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p.206)

 

 

점점더 대중화될 블록체인 기술
  • '실용적 블록체인'은 세계 최대 블록체인 컨퍼런스인 <컨센서스(Consensus2019)> 행사에서도 언급된 "블록체인의 대중화(Mass Adaption)"와 맥락을 같이한다. (p.206)
보안과 AI의 만남

 

최신기술의 집합 클라우드, 트렌드를 파악하라
  • AWS, MS 애저를 비롯하여 모든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의 사이트에는 "고객 성공 사례"라는 코너가 있다. 단순하게 특정 기업 위주로 나온 것이 아니라 지역별, 산업별, 사용기술별로 다양하게 사례가 나와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 꽤 중요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p.210)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의 최대 행사 서밋
  • 서밋은 자사의 최신기술을 소개하고 파트너 기업들과 직접 만나 교류하는 행사다.

슬라이드셰어

    사용자들이 PPT나 키노트(Keynote) 등의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업로드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다. www.slideshare.net  (p.213)

 

클라우드업체의 주요 서밋 (p.214)

 

칼럼. 좀더 알아보는 클라우드 지식

 

클라우드 서비스에는 무엇이 있을까?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p.219)

 

하드웨어를 빌려주는 IaaS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IT 인프라를 빌려주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p.219)
플랫폼을 빌려주는 PaaS
  •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플랫폼을 빌려주는 서비스'다. 집짓기로 치면, 건축회사로부터 땅과 건축자재를 빌리고, 설계는 건축회사가 준비한 도면 중 건축주의 취향에 맞는 것을 고르는 것이다. (p.220)
  • 예를 들어, 모바일 중고거래 어플을 개발한다고 했을 때, 어플에 들어가는 주요 기능 중, 로그인 기능, 알림을 받는 푸시 기능, 게시글 등록 기능을 개발자가 만들어야 하지만 PaaS는 이 각각의 기능을 빌려준다. (p.220)
웹에서 소프트웨어를 바로 쓸 수 있는 SaaS
  •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소프트웨어 서비스'다. IaaS나 PaaS가 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틀라우드 서비스라면 SaaS는 개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다. (p.220)
  • 드롭박스(Dropbox), 네이버 클라우드
클라우드 모델은 무엇이 있을까?

 

  • 퍼블릭 클라우드: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클라우드의 형태로, 클라우드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누구나 계정만 생성하면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다.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은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를 빠르게 확장해야 할 때 적합하다. (p.222)
  • 프라이빗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온-프레미스 환경 즉, 기업의 자체 데이터센터나 전산실에 클라우드를 구축한 모델이다. 하나의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중요한 데이터를 기업 내부에서만 접근하도록 보안을 강화하거나 업무 환경에서 아주 빠른 데이터 전송을 요할 때 구축한다. 특히 공공기관이나 금융권과 같이 물리적으로 네트워크망을 분리해야 하는 환경이나, 의료 연구나 반도체 설계 등 국가 차원의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을 막기 위해 인터넷 차단이 필요한 환경에서 사용한다. 또한 스마트공장과 같이 현장에서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고속으로 처리해야 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면 네트워크 지연 없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p.222 ~ p.223)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업체가 제공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모델이다. 기업의 중요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자원에 대한 제한 없이 확장성이 필요한 기술은 퍼블릭 클라우드와 함께 사용하면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여 서비스 장애를 줄일 수 있다. (p.224)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무선 데이터 전송의 지름길을 만들어 클라우드 게임이나 스마트공장, 자율주행 등 서비스의 성능을 높이는 5G 핵심 기술 (p.224)

+ Recent posts